윈도우 10 HTTPS 차단사이트 우회하는 방법
- IT tip/Windows 10
- 2018. 5. 13. 16:35
요즘 HTTPS 차단 논란으로 많은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요
저도 개인적으로는 차단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지만
혹시 진짜로 차단이 될 수도 있으니 미리미리 대비하는게 필요하겠죠.
그래서 윈도우 10에서 DNS 설정을 통해 HTTPS 차단 사이트를 속도 저하 없이
우회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먼저 설정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 들어갑니다.
어댑터 옵션 변경에 들어갑니다.
그러면 지금 사용중인 인터넷이 나올텐데
더블클릭 해 줍니다.
속성 클릭.
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(IPv4)
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(IPv6)
이 두개를 설정해줘야 하니까 하나씩 더블 클릭하면 설정창으로 넘어갑니다.
우리가 사용할 DNS서버는
구글에서 제공하는 DNS서버입니다.
국내에서도 서버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투자를 덜 하다보니
구글 DNS서버가 더 안정적이고 빠릅니다.
들어가서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에 체크하시고
기본 DNS 서버 |
8 . 8 . 8 . 8 |
보조 DNS 서버 |
8 . 8 . 4 . 4 |
를 넣어주시고 확인 눌러주세요.
그리고 IPv6을 더블 클릭 하시고
기본 DNS 서버 | 2001:4860:4860::8888 |
보조 DNS 서버 | 2001:4860:4860::8844 |
를 넣어주시고 확인을 눌러주시면
https 우회가 설정되었습니다.
'IT tip > Windows 10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10 작업기록(히스토리) 끄는 법! (0) | 2018.09.04 |
---|---|
윈도우10 인터넷 연결 끊는 법 (1) | 2018.05.08 |
윈도우10 오류났을 때 시스템 복원하는 법 (0) | 2018.04.30 |
윈도우 디펜더(Window Defender) 끄는법-1분만에 완료 (0) | 2018.04.03 |
이 글을 공유하기